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러시아 출신의 바둑 기사로, 6세에 바둑을 시작하여 1996년 한국기원에 연수생으로 초청받아 박영훈 등과 함께 바둑을 배웠다. 그는 유럽 바둑 콩그레스 토너먼트에서 우승하며 유럽 챔피언 7회, 유럽 바둑 왕좌 등 여러 대회에서 우승했다. 2002년 한국기원에서 초단으로 추천되었고, 같은 해 도요타 & 덴소배 바둑 세계 왕좌전과 LG배 세계 기왕전에 유럽 대표로 출전했다. 2002년에는 스베틀라나 시크시나와 함께 러시아 국적 최초의 프로 바둑 기사가 되었으며,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 2006년부터 잡지 Goama의 편집 주간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바둑 기사 - 스베틀라나 식시나
스베틀라나 식시나는 러시아 출신의 바둑 기사로, 러시아 여성 바둑 대회 3연패, 유럽여성바둑대회 우승 후 한국으로 유학 와 프로 기사가 되었으며,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과 유럽 페어 바둑 선수권 대회 5연패를 달성했다. - 러시아의 바둑 기사 - 일리야 식신
일리야 식신은 러시아 출신의 바둑 기사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조훈현 문하에서 유학했으며, 유럽 바둑 연맹 프로 기사 제도를 통해 프로 기사가 된 후 정치 활동도 하며 모스크바 바둑 연맹 부회장으로 활동한다. - 카잔 출신 - 마르타 마르티야노바
마르타 마르티야노바는 러시아 청소년 국가대표 펜싱 지도자인 예브게니 롬테프와 2021년 8월에 결혼했다. - 카잔 출신 - 카밀라 발리예바
2006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피겨 스케이팅 선수 카밀라 발리예바는 주니어 세계 챔피언, 시니어 그랑프리 우승 등 뛰어난 기량을 보였으나,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도핑 논란으로 경력에 타격을 입었다. - 대한민국에 거주한 러시아인 - 안드레이 란코프
안드레이 란코프는 러시아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유학 후 현재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북한의 정치, 사회, 역사, 특히 권력 구조와 주민 생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NK News, 코리아타임스 등 여러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Korea Risk Group의 이사로 활동하는 등 북한 관련 연구 및 대중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는 북한학 전문가이다. - 대한민국에 거주한 러시아인 - 발레리 네폼냐시
발레리 네폼냐시는 소련 출신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1990년 FIFA 월드컵 8강 진출을 이끌었으며, 대한민국, 터키, 일본, 중국 등에서 클럽팀 감독을 역임하고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 감독, 해설가로 활동했다.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80년 4월 19일 |
출생지 | 카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거주지 | 대한민국 |
스승 | 천풍조 |
기력 | 3단 프로 |
소속 | 한국기원 |
인물 정보 (한글) | |
이름 (한글) | 디너스타인 알렉산더 |
이름 (로마자) | Dineoseutain Allekseandeo |
이름 (한글 음독) | 디너스타인 알렉산더 |
2. 약력
카잔 출생. 6세 때 아버지로부터 체스와 바둑을 배우지만, 이후 바둑에 몰두하게 된다. 1996년 한국기원에 연수생으로 초청되어 바둑 학교에 입학하여 박영훈 등과 함께 배운다. 1999년 유럽 바둑 콩그레스 토너먼트에서 우승, 이후 유럽 챔피언 7회. 또한 응창기배 유럽 대회, 유럽 바둑 왕좌, 유럽 마스터스 등에서 우승. 2000년 전국 아마 최강전 준우승. 2002년 한국기원에서 초단으로 추천된다. 같은 해 도요타 & 덴소배 바둑 세계 왕좌전, LG배 세계 기왕전에 유럽 대표로 출전. 그 후에도 응창기배, 후지쓰배 등의 세계 선수권에 출전. 2004년에는 LG배 1회전에서 왕리청을 꺾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8년에 삼단 특별 승단.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에서는 남자 단체전 러시아 팀으로 출전, 예선 리그에서 팀 성적, 개인 성적 모두 4승 3패를 기록했다. 2006년 이래 잡지 고아마/Goama영어의 편집 주간을 맞고 있다.
2. 1. 초기 생애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6세였던 1986년에 바둑을 시작했다. 러시아 카잔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이반 데트코프와 발레리 솔로비예프와 같은 강력한 러시아 바둑 기사들과 함께 성장했다. 처음에는 아버지로부터 바둑을 배웠다. 체스와 바둑을 모두 두었지만, 10세가 되면서 체스를 그만두고 새로운 스승인 발레리 시크신과 함께 바둑에 더 깊이 몰두했다.1996년 한국기원에 연수생으로 초청되어 바둑 학교에 입학하여 박영훈 등과 함께 배웠다. 1999년 유럽 바둑 콩그레스 토너먼트에서 우승, 이후 유럽 챔피언 7회. 또한 응창기배 유럽 대회, 유럽 바둑 왕좌, 유럽 마스터스 등에서 우승하였다. 2000년 전국 아마 최강전 준우승. 2002년 한국기원에서 초단으로 추천된다.
2. 2. 한국 유학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6차례 유럽 바둑 챔피언을 지냈다. 1996년, 바둑을 배운 지 10년 만에 한국기원의 천풍조 초청으로 서울에서 바둑을 공부하게 되었다. 1997년 대한민국으로 이주하여 대규모 바둑 도장 중 한 곳에서 생활을 시작했다. 박영훈, 박지은, 이창웅, 고근태 등 이후 유명해진 여러 한국의 젊은 기사들과 함께 바둑을 공부했다. 카잔 출생으로, 6세 때 아버지로부터 체스와 바둑을 배웠지만, 이후 바둑에 몰두하게 되었다. 1996년 한국기원에 연수생으로 초청되어 바둑 학교에 입학하여 박영훈 등과 함께 배웠다. 한국기원을 통해 2002년 6월에 입단했고, 같은 해 도요타 & 덴소배 바둑 세계 왕좌전, LG배 세계 기왕전에 유럽 대표로 출전했다.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2. 3. 프로 입단 및 활동
카잔 출생으로 6세 때 아버지로부터 체스와 바둑을 배우지만, 이후 바둑에 몰두하게 된다. 1996년 한국기원에 연수생으로 초청되어 바둑 학교에 입학하여 박영훈 등과 함께 배웠다. 1999년 유럽 바둑 콩그레스 토너먼트에서 우승, 이후 유럽 챔피언 7회, 응창기배 유럽 대회, 유럽 바둑 왕좌, 유럽 마스터스 등에서 우승했다. 2000년 전국 아마 최강전 준우승을 하였다.한국기원을 통해 2002년 6월에 입단했고, 같은 해 도요타 & 덴소배 바둑 세계 왕좌전, LG배 세계 기왕전에 유럽 대표로 출전했다. 그 후에도 응창기배, 후지쓰배 등의 세계 선수권에 출전했다. 2002년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프로 기사 자격을 획득하며, 스베틀라나 시크시나와 함께 러시아 국적 최초의 프로 바둑 기사가 되는 역사를 만들었다. 두 기사 모두 특별 추천을 통해 승단했는데, 이는 아시아 출신이 아닌 기사로서는 매우 드문 업적이었다. 그는 이후 서양 바둑 팬들을 대상으로 바둑을 가르치는 일을 시작했다. 2004년에는 LG배 1회전에서 왕립성을 꺾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에서는 남자 단체전 러시아 팀으로 출전, 예선 리그에서 팀 성적, 개인 성적 모두 4승 3패를 기록했다. 2006년 이래 잡지 고아마(Goama)의 편집 주간을 맞고 있다.
2. 4. 국제 대회 활약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6차례 유럽 바둑 챔피언을 지냈으며, 대한민국에서 바둑 유학을 했다. 한국기원을 통해 2002년 6월에 입단했고,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 프로 기력에 도달한 몇 안 되는 비 아시아 출신 선수 중 한 명이다.1999년 유럽 바둑 콩그레스 토너먼트에서 우승한 이후, 유럽 선수권에서 7회(1999, 2000, 2002, 2003, 2004, 2005, 2009) 우승했다. 이외에도 응창기배 유럽 대회, 유럽 바둑 왕좌, 유럽 마스터스 등에서 우승했다.
2000년 전국 아마 최강전 준우승을 하였고, 2002년 한국기원에서 초단으로 추천되었다. 같은 해 도요타 & 덴소배 바둑 세계 왕좌전, LG배 세계 기왕전에 유럽 대표로 출전하였고, 그 후에도 응창기배, 후지쓰배 등의 세계 선수권에 출전했다. 2004년에는 LG배 1회전에서 왕리청을 꺾는 성과를 거두었다.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에서는 남자 단체전 러시아 팀으로 출전, 예선 리그에서 팀 성적, 개인 성적 모두 4승 3패를 기록했다. 일본 최강 기사 중 한 명인 오 리세이 9단에게 승리한 적도 있다.
2. 5. 기타 활동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6차례 유럽 바둑 챔피언을 지냈다. 대한민국에서 바둑 유학을 했으며, 한국기원을 통해 2002년 6월에 입단했고,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 2006년부터 잡지 고아마/Goama영어의 편집 주간을 맡고 있다.카잔에서 태어났다. 6세 때 아버지로부터 체스와 바둑을 배웠지만, 이후 바둑에 몰두하게 된다. 1996년 한국기원에 연수생으로 초청되어 바둑 학교에 입학하여 박영훈 등과 함께 배웠다. 1999년 유럽 바둑 콩그레스 토너먼트에서 우승한 이후, 유럽 챔피언을 7회 차지하였다. 또한 응창기배 유럽 대회, 유럽 바둑 왕좌, 유럽 마스터스 등에서 우승했다. 2000년 전국 아마 최강전 준우승을 하였다. 2002년 한국기원에서 초단으로 추천되었다. 같은 해 도요타 & 덴소배 바둑 세계 왕좌전, LG배 세계기왕전에 유럽 대표로 출전했다. 그 후에도 응창기배, 후지쓰배 등의 세계 선수권에 출전하였다. 2004년에는 LG배 1회전에서 왕리청을 꺾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8년에 3단 특별 승단하였다.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에서는 남자 단체전 러시아 팀으로 출전, 예선 리그에서 팀 성적, 개인 성적 모두 4승 3패를 기록했다.
3. 주요 성적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프로 기력에 도달한 몇 안 되는 비 아시아 출신 선수 중 한 명이다. 유럽 선수권에서 7회(1999년, 2000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9년) 우승했다. 유럽 잉컵(2001년, 2002년), 유럽 바둑 오자(2002년, 2006년, 2008년) 및 유럽 마스터스(2005년, 2007년)를 포함한 여러 주요 유럽 대회에서 우승했다.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일본 최강 기사 중 한 명인 오 리세이 9단에게 승리한 적이 있다.
4. 국제 기전 출전 이력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프로 기력에 도달한 몇 안 되는 비 아시아 출신 선수 중 한 명이다. 1999년, 2000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9년에 유럽 선수권에서 우승하여 유럽 챔피언이 되었다. 유럽 잉컵(2001, 2002), 유럽 바둑 오자(2002, 2006, 2008) 및 유럽 마스터스(2005, 2007)를 포함한 여러 주요 유럽 대회에서도 우승했다.
알렉산드르 디네르시테인은 일본 최강 기사 중 한 명인 오 리세이 9단에게 승리한 적이 있다.
도요타 & 덴소배 세계 바둑 왕좌전에는 2002년(×위빈), 2004년(×사카이 슈시), 2006년(×이창호), 2008년(○리제, ×장쉬)에 출전했다. LG배 세계 기왕전에는 2002년(×M. 레몬), 2004년(○왕리청, ×조한승), 2006년(×저우허양)에 출전 기록이 있다.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는 2004년(×저우쥔쉰)에, 세계 바둑 선수권 후지쯔배에는 2006년(×조치훈), 2008년(×콩제)에 각각 출전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